돈 받으러 왔다가 귀여운 아이를 맡게 되었다.
1993년 사채업자인 두석과 종배는 빌려준 돈을 받기 위해서 인천을 돌아다닌고 있다. 그 들이 찾는 사람은 채무자인 명자였고, 명자가 딸 승이와 함께 지나가는 것을 발견한다. 빌린 돈을 갚으라고 두석이 말하지만 갚지 못하는 명자에게서 승이를 담보로 잠시 데려간다. 돈을 가지고 오면 딸 승이를 돌려주겠다고 말하며 홀연히 자리를 떠난다. 하지만 어린아이를 맡은 게 어색한 두석과 종배는 최대한 아이가 불편하지 않도록 맛있는 음식도 사고 귀여운 인형도 주면서 잘 지내고 있었다. 두석은 명자에게 돈을 받으면 바로 승이를 돌려주고 자신들은 돈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명자는 자신의 딸을 구하기 위해 남편이 전에 일했던 곳으로 가서 퇴직금이라고 달라고 애원하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다. 그리고 명자가 무슨 일을 만들까 봐 불안한 직장 사장은 경찰에 불법체류자인 명자를 신고하고 돈을 구하지 못하고 경찰서에 체포된다. 그 사실을 모르고 있는 두석과 종배는 약속시간에 승이를 데리고 나가서 명자를 기다리지만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았다. 그리고 좀 있다가 명자가 중국으로 추방될 예정이라는 사실을 듣게 된 두석은 명자와 마지막으로 대화를 한다. 명자는 승이의 큰아버지에게 연락을 하면 빛은 물론 승이까지 잘 돌봐주 거라고 마지막 말을 하면서 중국을 쫓겨난다.
사라진 승이를 찾아 삼만리
두석과 종배는 승이를 마지막 담보로 데리고 있는 전날에 백화점에 가서 이쁜 옷도 사주고 맛있는 음식도 사주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준다. 그리고 승이가 좋아하는 서태지 콘서트도 보여주면서 이별의 준비를 한다. 다음 날 큰아버지를 만나게 된 두석은 승이를 주면서 선금 50만 원을 받으면서 자리를 떠난다. 하지만 집에 가니 승이가 두고 간 가방이 있었다. 그리고 승이가 보고 싶었던 두석과 종배는 승이에게 삐삐를 해서 연락을 하지만 답장이 오지 않았다. 이상함을 느낀 두석과 종배는 큰아버지를 찾으러 가고 사실 승이는 다른 곳에 돈을 받고 넘긴 것이다. 승이는 룸살롱에 팔려와 숙식을 하고 있는 데 마담이 일을 나간 사이에 전화기를 몰래 사용해서 두석과 통화를 하고 주소를 들은 두석은 승이를 찾기 위해 달려간다. 두석은 승이를 데려오기 위해 마담이 요구하는 금액을 지불하기 위해 지금까지 몰고 다니던 차도 팔면서 승이를 지켰다.
새로 생긴 아빠와 살면서 올바르게 자란 승이
다시 두석의 집으로 오게 된 승이는 초등학교를 가야 할 나이였기에 초등학교에 입학서를 보내지만 호적이 없는 아이는 입학을 할 수 없다는 연락을 받게 된다. 그래서 두석은 승이를 자신의 양자식으로 받아들이면 호적이 생겨서 초등학교를 다닐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승이는 자신의 친아빠가 버린 사실을 모르고 친아빠를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두석을 거부한다. 하지만 두석은 승이를 달래면서 잠깐 가짜 아빠가 되는 것이라고 걱정할 필요 없다고 설득해서 승희는 두석의 양자 식이 되면서 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그리고 초등학교 때부터 시험을 보고 오면 만점을 받아 두석과 종배를 기쁘게 했다. 그렇게 좋은 명문대학교까지 입학하게 된 승이와의 약속을 가기 위해 오토바이를 탄 두석은 가는 도중에 큰 두통이 나타면서 자리에 쓰러지고 그 이후로 10년 동안 행방이 알 수 없게 된다. 승이는 두석을 복지원에서 찾게 되고 두석은 처음에는 승이를 알고 보지 못하다가 결국 담보라고 부르게 된다. 그리고 다시 승이와 두석은 잘 지낼 숭 있게 되면서 승이의 결혼식장에서 승이를 담보가 아닌 승이라고 부르면서 결혼식이 시작되면서 영화는 막을 내린다.
영화 '담보' 리뷰
우리가 생각하는 담보가 아닌 영화에서 풀어낼 수 있었던 귀여운 담보가 승이라서 무겁지 않고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특히 승이 역할을 맡은 박소이 배우는 작은 몸짓에서 완벽한 연기를 해서 다들 놀랬다. 캐스팅이 전체적으로 잘되었다고 생각하고 담보로 데리고 온 승이를 결국 어른이 될 때까지 돌봐주면서 부정애와 승이에 대한 애정이 눈에 보였다. 연기를 잘하는 두석 역할의 성동일 배우의 명품 연기도 영화를 보면서 눈물을 흘리게 한 감동이 있었다. 서로 다른 사람들끼리 만나서 결국 가족이 된다는 훈훈한 이야기의 영화로 잘 만들어진 것 같다.
댓글